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1

암웨이 탈모 치료기 ( 레이져 l400 ) 가격, 사용방법, 리얼 후기 저번 시간에 이어 오늘도 탈모치료에 대한 내용으로 암웨이에서 출시한 탈모치료기 레이저 L 400에 대해 말씀드려 볼까 합니다. 아무래도 레이저 L400의 탈모치료기 사용 후기나 효과, 가격 등이 궁금하실 텐데요. 내돈내산 레이저 L 400의 사용 후기를 광고목적 1도 없이 정말 사용하고 느낀 사실대로만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광고 아닌 찐 후기 보고 싶다면 이 포스팅을 보시면 됩니다.^^ 레이저 L 400 구입 동기, 가격 어머니 지인분이 암웨이 에메랄드 등급이신 걸로 알고 있는데 이미 L400 사용하시고 효과를 보셨다고 후기 사진을 보내주시기도 했습니다. 5개월 사용 후기 사진으로 사용 전 숱이 많이 없고 두피가 많이 보이는 사진에서 L400 사용 후 두피가 모발로 좀 채워진 사진이었습니다(동의를 받지.. 2023. 4. 20.
노푸 (No-Shampoo) 리얼 후기, 탈모 방지 효과 있을까? 노푸방법 노푸란 '노푸'라고 아시나요? '노푸'란 'No-Shampoo'의 줄임말로 샴푸 없이 머리를 감는다는 의미입니다. 우선 노푸를 시도해 본 사람으로서 가감 없이 노푸에 대한 리얼 후기를 말씀드려 보겠습니다. 노푸열풍이 일어나게 된 이유는 샴푸를 사용하게 되면 샴푸 내 성분인 계면활성제와 파라핀 등 수십 종의 화학성분들이 두피와 몸에 축적되고 두피의 건강을 악화시켜 탈모를 일으킬 뿐 아니라 신체 장기에도 손상을 주어 건강에 좋지 않다는 설 때문이었습니다. 그래서 건강한 모발과 신체를 위해 노푸가 굉장히 매력적인 건강관리방법으로 사람들에게 대두되었습니다. 현대인들이라면 탈모의 고민에서 완전히 자유롭지 않기에 탈모 개선의 여러 가지 방법 중 노푸를 시도하시는 분들도 많을 것입니다. 노푸에 대한 평가들 아직 노푸.. 2023. 4. 19.
부가가치세 세금 계산 정의 산출 방법 일반과세자 이번 포스팅에서는 일반사업자의 부가가치세 계산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과세 표준이라는 개념부터 알려드리겠습니다. 과세표준이란 세액 산출의 기초가 되는 과세 대상의 수량 또는 가액을 말합니다. 세금을 부과하기 위해서는 어떤 금액이 산정되어야 하는데 그 금액을 과세표준이라고 합니다. 재화나 용역에 대한 부가가치세의 과세 표준은 해당 과세 기간에 공급한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가액을 합한 금액입니다. 공급가(공급가액) 부가가치세를 포함하지 않는 매출액 여기에서 공급가액이란 부가가치세를 포함하지 않은 매출액 등을 의미합니다. 공급대가 부가가치세를 포함한 매출액 부가가치세를 포함한 금액은 이와 구분하여 공급 대가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100만 원 상당의 제품이 있고 부가가치세 10%를 포함하여 110.. 2023. 3. 28.
부가가치세 세금 계산 방법 간이과세자 (매출세액, 공제세액) 이번에는 간이과세자의 세금 계산 구조와 계산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간이과세자의 부가가치세 계산 부가가치세 계산식 간이과세자의 부가가치세는 업종별 부가가치율을 적용한 매출 세액에서 업종별 부가가치율을 적용한 매입세액을 차감하여 줍니다. 업종별 부가가치율을 계산에 적용하는 것에서 일반 과세자와는 큰 차이점이 있습니다. 간이과세자의 부가가치세 = 1)매출세액(공급대가X세율10%X업종별 부가가치율) - 2)공제세액(세금계산서상 매입세액X0.5%) 여기에서 세부적으로 1) 매출세액과 2) 공제세액을 알아보겠습니다. 매출세액 1) 매출세액 계산 매출세액 = 매출금액(공급대가) X 업종별 부가가치율 X 부가가치세율 10% 간이과세자의 매출세액은 공급가액의 10%를 곱한 금액에 추가로 업종별로 상이한 부가가치율을.. 2023. 3. 26.
부가가치세 과세기간, 신고기간, 예정고지세액 (간이과세자, 일반과세자, 법인과세자) 지난 포스팅에서는 사업자로서 세금납부를 위한 부가가치세의 특징, 계산방법, 과세대상, 사업자유형에 대해 알아보았고, 이번에는 과세기간과 신고기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과세기간, 신고기간 세금을 부과할 때는 부과 대상 기간이 정해져 있어야 하고 이를 과세 기간이라고 합니다. 또, 과세기간 동안의 부과된 세금을 신고 기간에 납부해야 합니다. 부가가치세는 일반적인 경우 법인사업자는 1년에 4번을, 개인 사업자는 2번을 신고하게 됩니다. 즉, 법인사업자는 각 3개월마다 개인사업자는 각 6개월마다 과세 기간이 됩니다. 일반과세자 개인사업자의 경우 1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를 1기로, 7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를 2기로 하여 1기 및 모두 각 과세 기간이 끝나는 날에 다음 달 25일까지 부가가치세 신고 .. 2023. 3. 22.
부가가치세 과세대상과 사업자 유형 부가가치세 과세대상 부가가치세는 재화나 용역에 대해서 부과되는 세금이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재화나 용역의 종류가 무엇인지 또 규모는 어떻게 되는지에 따라서 사업장의 유형이 달라집니다. 먼저 부가가치세 과세 대상 및 과세 면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면세 단어 그대로 세금을 면제한다는 뜻이고, 일정한 재화나 용역의 공급에 대하여 부가가치세를 면제하는 제도를 의미합니다. 우리가 어떤 제품을 구입하고 영수증을 보면 어떤 물건에는 부가가치세가 있고 어떤 물건에는 부가가치세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마트 영수증 같은 데서 쉽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흰 우유를 구입한 영수증을 보면 부가세 0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유의 부가세가 면세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앞에서 부.. 2023. 3. 21.